본문 바로가기
영어 & YouTube 번역

아파트 가사 해석 &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확장 표현

by Uncle Arnold 2025. 1. 4.

전체적인 가사 번역은 영상에 잘 되어 있으니 부분적이고 보충 설명이 필요한 부분만 설명합니다.

 

https://youtu.be/TOPI3RBRg2Y?si=SzVrEc2tQnwzK01C

 

Kissy face, Kissy face

kissy: 형용사: 키스하는, 애정을 표현하는

 

Sent to your phone, but I'm tryna kiss your lips for real

sent: send의 과거형, trying + 동사원형: 시험 삼아 ~해보다, try to + 동사원형: ~하려고 애쓰다. for real: 정말로, 진짜로,

lips: 입술이 2개라서 복수로 표현한 것에 주의

 



 

Red hearts, Red hearts

That's what I'm on, yeah

(what은 관계대명사, ~하는 것으로 해석, I'm on: ~하는, ~하는 중: ex, I'm on a diet.(나 다이어트 중이야.) I'm on a break.(나 휴가 중이야.), what I mean(내가 의미하는 것), what women want(여자들이 원하는 것, 유명한 영화 제목이죠), 그래서 That's what I'm on은 그것이 내가 하는 거야 또는 내가 바라는 거야로 해석하면 되겠죠.

 

 

 

Come give me somethin' I can feel

한 문장에 동사가 2개 쓰일 수 없지만 and가 생략되어서 이렇게 쓰입니다. come (and) give

ex, Go get it.(가서 그걸 가져와.)

somethin' 알파벳 하나 생략할 때 알파벳 대신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합니다.

something (that) I can feel: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내가 느낄 수 있는 것(뭔가)을 내게 와서 줘.

 

Don't you want me like I want  you, baby?

like는 좋아하다는 뜻의 동사로만 쓰이는 게 아니라 ~처럼, ~만큼의 뜻으로 전치사, 접속사로도 쓰입니다. 위의 문장은 like 뒤에 주어 동사가 있으니까 접속사입니다. 자기야, 내가 너를 원하는 만큼 너는 나를 원하지 않니?

 

Don't you need me like I need you now?

위와 똑같은 구조쥬. 참 쉽죠 잉!

 

Sleep tomorrow, but tonight, go crazy

내일 자라, 그러나 오늘은 미쳐라

go + 형용사: go는 2 형식 동사로 '~해지다'로 해석하면 됩니다. go bad: 상하다. ex, This milk went bad.(이 우유 상했다.)

 

All you gotta to do is just meet me at the 아파트, 아파트~~~

     주어

gotta는 미국 구어체로 쓰이는 것으로 have to(~해야 한다)와 같은 뜻입니다. All (that) you have to do: 네가 해야 하는 모든 것, 즉 너는 ~만 하면 돼, 이런 뜻이죠. 이것도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경우입니다. 그리고 한 문장에 동사가 2개 이상 못 쓰인다고 했는데 is와 meet가 같이 있죠. 이건 meet앞에 to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to meet me: 나를 만나는 것, 명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to 부정사입니다. 크리스마스가 지난 지 얼마 안 되었는데 머라이어 캐리가 부르는 노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도 All과 I 사이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It's whatever, it's whatever

It's whatever you like (Woo)

whatever는 복합관계대명사로 '무엇이든'이란 뜻입니다. 그래서 이 문장에서는 '네가 좋아하는 무엇이든'이 되겠죠.

 

I'm talkin', drink, dance, smoke, freak, party all night (come on)

freak는 좀 생소한 단어인데 명사: 변덕, 괴짜, 열광자, 형용사: 이상한, 별난, 동사: 자유롭게 제멋대로 생활하다 등의 뜻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꼴리는 대로 놀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네요. 실제로 미국 원어민 친구 이야기 들어보니까 미국 10대들 파티가 어른들을 되게 성가시게 한다고 하네요.

 

건배, 건배, girl, what's up? Oh-oh, oh

what's up은 친구들이나 아랫사람한테 쓰는 표현입니다. 별일 없어? 뭐 새로운 일 없어? 잘 지냈어? 정도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Cause I'm comin' to get ya, get ya, get ya

'내가 널 잡으러 가고 있으니까'인데 왜 going을 안 쓰고 coming을 썼을까요? 내가 말하는 상대방과 거리가 가까워지면 come을 쓰고 내가 말하는 상대방과 멀어지면 go를 씁니다. 한국사람이 좀 이해하기 힘든 표현입니다.

 

Hold on, hold on, I'm on my way

hold on은 '잠깐만'이라는 표현으로 통화 중에도 쓸 수 있습니다. I'm on my way. 가는 길이야.(내 길 위에 있다.), 가는 중이야.로 해석하면 되겠죠. ex, on the way home(집으로 가는 길에, home이 부사로 쓰였기 때문에 앞에 to를 붙이지 않습니다.), on the way to the office(사무실에 가는 길에) Buy something to eat on the way home.(집으로 오는 길에 먹을 거 좀 사가지고 와.) 

 

 

 

728x90

댓글